2020 06 행복이 가득한 집 - 아름다운 한옥

광고쟁이 부부의 효자동 라운지


광고 아트 디렉터 김상주와 카피라이터 배은영 부부가 효자동으로 이사를 왔다. 살집을 정할 시점, 부부는 삶을 효율적으로 산다는 것에 대해 고민했다. “야근이 많다 보니 집에선 휴식해요. 때론 친구들과, 때론 부부끼리 술 한잔하고요. 큰 거실과 주방이 필수이고, 방은 잠 잘 수 있으면 되겠더군요.” 그래서 작은 집을 택했다. 1920년대에 지은 10평 한옥이었다. 워낙 낡은 집이라 레노베이션이 필수였다. 이들이 떠올린 건 서촌을 배경지 삼아 ‘서촌차고’ ‘한권 의 서점’ 등 작은 상점과 ‘누와’ ‘일독일박’처럼 색다른 경험을 주는 숙박 공간을 만들어온 지랩 Z-LAB. “평소 지랩이 만든 공간들을 좋아했어요. 본연의 낡은 것을 지키면서도 현대의 삶을 담아 내는 것이 저희 취향과 잘 맞거든요.” 지랩의 노경록 대표도 같은 생각이었다. 첫 미팅 후, 바쁜 가운데서도 기쁜 마음으로 프로젝트를 맡기로 했다.


한눈에 들어오는 작은 집
경복궁 돌담길을 따라 한참 들어간 조용한 효자동 골목에 자리한 집에 다다랐다. 문처럼 보이는 곳이 두 군데였다.

새로낸 듯 멀끔한 철문이 하나, 외벽 끄트머리에 붙은 낡은 초인종이 있는. 곳이 하나. 저. 낡은 초인종은 왜 붙어있을까?“ 본래 마당과 대문이 있던 곳의 땅을 다지고 벽을 새로 세웠어요. 초인종은 그대로 두었지요.” 집의 역사를 존중하는 부부 나름의 방식이다. 철문을 열고 들어서니 작은 오솔길처럼 세로로 길게 난 자그마한 마당 끝에 애기 동백이 서있었다. 나무로 짠 문을 드르륵 열면 간결한 집의 구조가 한 눈에 들어온다. 반듯한 서까래 아래 소파 베드와 수납장, 슬라이딩 도어로 구분한 작은 방이 있다. 부엌 천장에 난 창으로 빛이 들어왔다.“ 곁에 높은 건물이 있어 채광이 좋지 않은 집이에요. 그걸 보완하기 위해 천창에 창을 냈지요. 집의 정면을 정원 방향으로 바꾸면서 채광은 더 좋아졌어요.” 노경록 대표가 설명했다. 부부 삶에 맞게 고친집이지만, 집을 위해 부부가 변한 부분도 있다. “소파와 침대, 책장도 버렸어요. 옷도 많이 버렸고요. 이러다 아내가 저까지 정리해버리는 것 아닌가, 할 정도로 짐을 많이 줄였죠.” 김상주 씨의 말이다. 그런 아쉬움을 보상받을 만큼의 즐거움이 있기에 두 사람은 이곳에서 살 수 있다고 했다. 집에 대한 부부의 애정이 남다른데, 그래서인지 이 집에는 이름이 있다. 카피라이터인 아내 배은영씨가 지은 이름에, 광고 아트디렉터인 남편 김상주씨가 로고를 만들어 집 앞에 붙여 두었다. 게으를 라懶, 운치 운韻, 땅 지地를 쓴. 효자동라운지. “말 그대로효자동에 게으르게 퍼져 술도 마시고, 편하게 놀 수 있는 공간으로 집을 만들고 싶었어요. 작은 집이다 보니 치밀하게 쓰기 위한 방법을 많이 고민했는데, 결국은 편하고 즐거울 수 있는 공간에서 살고자 연구한 셈이지요.”


군더더기를 뺀 자리에 더한 취향
현대건축의 아버지라 불리는 르코르뷔지에는 그의 저서 <작은 집>에서 삶의 효율성에 대해 “정밀하고 조직적으로 배열해야 가치를 얻는다” 고 했다. 이 집 역시 같은 맥락에서 기능에 집중했다. “작은 집은 공간을 복합적으로 기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해요. 주거 공간이면서 세탁실인 동시에 다이닝룸인 이 집의 주방 처럼요.”집을 마무리 한 후, 부부는 지랩 구성원에게 카피라이트를 선물했다. ‘우리 한번 해봅시다’ ‘이 우체통 어때요?’ ‘이건 그냥 둘까요?’ 등. 지랩도 현장 공사 중 찍은 사진을 앨범으로 만들어 부부에게 선물했다. 맨 앞장에는 마르셀뒤샹의 말을 적었다. “예술에서 게으름을 찬미하며 실천한 것을 뽐내자!” 부부는 최근 재택 근무를 하며 집을 즐기는 시간을 보냈다. 매일 아침 눈을 떠 천장의 서까래를 올려다보며 잠시 편안한 안정감을 갖게 된다고. “저희에겐 집이 곧 영감이에요. 매일을 기분 좋게 사는 것이 저희에겐 중요한 일이지요.” 효자동 라운지는 그렇게 수지타산도 효율적 공간 활용도 아닌, 진정한 집의 의미로 모두에게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