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EONGJIGAK 1956 EAST
명지각 1956 동관
1960년대 전성기를 누렸던 남원 명지각을 숙박 공간으로 재생하는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명지각 동관의 계획도 함께 확장되었다. 본관은 기존 한옥의 공간감을 극대화하고, 건물의 규모 안에서 객실 밀도를 조율하며 명지각 고유의 상징성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췄다. 반면, 본관에서 약 200미터 떨어진 명지각 동관은 전혀 다른 접근이 필요한 장소로 인식되었다.
동관이 위치한 부지는 원래 남원시에서 빈집을 매입해 공용주차장으로 활용할 계획을 갖고 있던 곳이었다. 많은 지방 도시들이 원도심 재생을 위해 빈집을 매입하지만, 그 활용 방안이 뚜렷하지 않아 결국 공용주차장으로 귀결되는 사례가 많다. 이 장소 또한 그러한 전형적인 사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남원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의 지원 아래, 유휴 공간을 활용해 새로운 관광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의 초기 단계부터 긴밀히 협력하며 이 프로젝트를 완성해나갔다.
이 부지에는 세 채의 민가가 있었고, 주변은 유사한 규모의 도시형 한옥들이 밀집한 지역이었다. 계획은 기존 민가를 리모델링하고 새로운 한옥을 증축하여 총 다섯 채의 독채 객실을 구성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독채형 객실의 가장 큰 문제는 프라이버시 확보와 객실 진입 동선의 한계였다. 일반 호텔은 로비, 리셉션, 복도, 객실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경험을 제공하지만, 상대적으로 협소한 대지에 독채를 배치할 경우, 초기 설계 단계부터 섬세한 마스터플랜이 필요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회랑’은 중요한 해법이 되었다. 회랑은 공용 공간과 객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명지각 동관의 인상적인 공간적 특징을 형성하고 각 독채의 프라이버시를 자연스럽게 보호해준다. 게스트는 진입부에 위치한 티하우스에서 환대를 받고, 회랑을 따라 이동하며 객실에 대한 기대감을 쌓아간다. 회랑은 동관의 중심 이미지이자 동선을 이끄는 중요한 장치이며, 각 채의 대문을 지나 작은 정원으로 들어서면, 그 정원이 객실 내부의 연장처럼 느껴져 한옥과 정원이 하나의 완결된 공간으로 경험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여러 채의 한옥과 공용 공간을 구성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것은 주변 민가와의 조화였다. 마을과의 공생을 핵심 가치로 삼는 ‘마을호텔’이라는 개념처럼, 물리적 요소 역시 마을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조화와 어우러짐이 있을 때, 호텔은 단지 이질적인 공간이 아니라 마을의 일부로 기능할 수 있다고 믿는다.
명지각 1956 동관의 브랜딩은 명지각 1956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운영사가 직접 디벨롭하여 적용하였다. 명지각 1956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컬러와 폰트를 바탕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브랜드의 확장성과 활용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디자인 하였다.
As an extension of the project to transform Myeongjigak—a landmark in Namwon that flourished in the 1960s—into a hospitality space, the plan for Myeongjigak East Wing was also expanded. While the main building focused on enhancing the spatial qualities of the original hanok, carefully managing guest room density within its existing structure, and revealing the symbolic character of the building, the East Wing—located approximately 200 meters away—required an entirely different design approach.
The East Wing site was originally acquired by the city of Namwon with the intention of converting it into a public parking lot. This reflects a common phenomenon in many regional cities where vacant houses are purchased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ut end up being used for parking due to the lack of a clear reuse plan. This site, too, was on the same trajectory. However, in collaboration with Namwon Cit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this project was developed from the early stages of a government-supported initiative to transform underutilized spaces into new tourism hubs.
The site originally contained three private houses, surrounded by similarly scaled urban hanoks. The plan began by remodeling these three houses and adding new hanok structures to create a total of five detached guest units. However, the primary challenge of this detached-unit approach was securing privacy between units and designing the limited access paths to each room. Unlike conventional hotels, which offer a continuous experience from the lobby to the reception, corridor, and guest room, a site with limited area and detached units requires a thoughtful master plan from the earliest design phase.
In this context, the corridor emerged as the key design solution. This corridor organically connects the shared spaces and private guest rooms, forming one of the East Wing’s most distinctive spatial features while naturally ensuring privacy for each unit. Guests are welcomed in a tea house at the entrance, then walk through the corridor, building anticipation for their stay. The corridor not only serves as the central image of the East Wing but also functions as a connective element that leads to each unit. Opening the gate to a unit, guests encounter a small private garden—an extension of the room that seamlessly merges hanok architecture and nature into a unified spatial experience.
Another crucial consideration in planning the multiple hanok units and shared spaces was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Embracing the value of coexistence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concept of a “village hotel” reflects the belief that even physical elements should blend into the village’s texture. When this kind of architectural harmony is achieved, the hotel does not stand as an isolated structure but becomes a genuine part of the village.
The branding of Myeongjigak 1956 East Wing was directly developed and applied by the operating company, following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Myeongjigak 1956 brand. The branding was designed to ensure both versatility and scalability, based on the original brand’s colors and typography, allowing for a cohesive yet flexible visual identity across various applications.